직장인이라면 매달 나가는 보험료,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2025년에도 직장인이라면 급여 명세서에서 빠지지 않는 게 바로 4대보험이다.
매달 나가는 보험료지만, 정확히 어떤 항목이 있고 얼마나 내는지 잘 모르는 분들도 많다.
오늘은 2025년 기준 4대보험 요율에 대해 정리해봤다.
🔍 4대보험이란?
국민연금 / 건강보험 / 고용보험 / 산재보험
이 네 가지가 바로 4대 보험이다.
모두 의무 가입이며, 매월 월급에서 일정 비율로 빠져나간다.
. ✅ 2025년 4대보험 요율 정리표
항목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총합계 |
국민연금 | 4.5% | 4.5% | 9% |
건강보험 | 3.545% | 3.545% | 7.09% |
장기요양보험 | 0.9182% | 0.9182% | 1.8364% |
고용보험 | 0.9% | 0.9% | 1.8% |
산재보험 | 없음 | 업종별 상이 | 평균 1.47% 수준 |
📌 참고: 장기요양보험은 건강보험료의 12.95%로 별도 계산되어 부과된다.
📌 산재보험은 사업주만 전액 부담하며, 업종에 따라 요율이 다르다.
4대보험, 꼭 미리 계산해보세요
4대 보험료는 소득이 많을수록 커지기 때문에
급여명세서에서 빠지는 금액이 왜 그만큼인지
직접 계산해보는 게 정말 중요하다.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4대 사회보험 민원신고를 한번에! 사업장 및 개인회원의 전자민원신고, 가입내역조회 및 증명서 발급 민원을 신청하세요! 개인민원 신고 및 증명서 발급은 모바일에서도 가능합니다. 사업장 회
www.4insure.or.kr
국민연금 계산 예시
📌 월 소득 300만원 근로자 기준
- 근로자 부담: 300만 X 4.5% = 135,000원
- 사업주 부담: 300만 X 4.5% = 135,000원
- 총 납부액: 270,000원
국민연금은 내는 만큼 미래의 연금 수령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 요율: 7.09% (근로자 / 사업주 각 3.545%)
장기요양보험 요율: 건강보험이 12.95% 별도 부과
즉, 월급에서 건강보험 외에도 장기요양보험료가 함께 빠져나간다
예를 들어 건강보험이 100,000원이라면
> 장기요양보험은 약 12,950원이 추가된다.
고용보험 요율은?
- 총 1.8%
- 근로자 0.9% / 사업주 0.9%
여기에
✅ 사업주는 추가로 0.25%~0.85%를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부담금으로 추가 납부한다.
산재보험은 누구만 낼까?
산재보험은 오직 사업주만 부담한다.
근로자는 단 한 푼도 내지 않는다.
다만, 업종에 따라 달라지는 요율이 포인트다.
예시 | 요율 |
건설업 | 2.8% |
사무직 | 0.7% |
제조업 | 1.6% |
✅ 정리하며
✔️ 국민연금은 4.5%씩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은 합산 약 8.9%
✔️ 고용보험은 1.8% + 사업주 추가부담
✔️ 산재보험은 업종에 따라 사업주만 부담
퇴사 후 900만원 받을 수 있다고? 2025년 실업급여 조건과 수급 방법 총정리
실업급여,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건 아니다갑자기 일을 그만두게 되면 생활비가 걱정되기 마련이다.이때 정부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실업 안전망이 바로 실업급여다.하지만 아무나, 언제든 받을
soarer17.com
2025 사회초년생 정부지원금 총정리 /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6가지 혜택
2025년, 사회초년생이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은 생각보다 많다.하지만 "몰라서" 신청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오늘은 사회초년생, 청년 근로자, 갓 졸업한 20~30대를 위한 정부지원 제도 7가지를
soarer17.com
신용점수 올리는 법 / 사회초년생도 100점 올릴 수 있는 5가지 금융 습관 (2025년 최신)
직장에 입사하고 사회생활을 시작했지만, 막상 대출을 받거나 신용카드를 발급받으려고 하니 "신용점수가 낮다"는 말을 들은 적 있나요? 신용점수는 단순히 숫자가 아니다.전세대출, 자동차 할
soarer17.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