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뉴스 해석

트럼프 대통령,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 발표! 한국 자동차 수출은 어떻게 될까?

by 모경이 2025. 3. 28.
728x90
반응형

 

2025년 3월 2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전격 서명했다.

 

이 조치는 2025년 4월 2일부터 순차적으로 시행되며,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와 관련 부품이 대상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자동차 관세 인상을 넘어서, 한국, 일본, 독일, 캐나다 등 자동차 수출 강국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전체 수출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파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왜 갑자기 자동차에 25% 관세를 할까?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재임 시절부터 미국 우선주의를 외쳐왔다.

그는 이번 발표에서도 같은 맥락으로 미국 내 일자리 보호, 제조업 부활을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미국에서 생산된 자동차에는 이 관세가 적용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미국 내 공장과 노동자를 보호할 것이다"


 

즉, 해외에서 만든 자동차는 비싸게 들여오게 해서, 결국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들도록 유도하겠다는 의미다.

특히 미국 내 제조사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주겠다는 것이다.

 


 

관세 25%, 한국 자동차에 미치는 영향은?

가장 걱정되는 것은 한국이다. 

왜냐하면 한국은 미국 자동차 수입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공급국이기 때문이다.

  • 2024년 기준, 한국은 미국에 약 51조 원어치의 자동차를 수출
  • 이는 한국 자동차 수출 전체의 약 49%에 달하는 비중

따라서 관세가 실제로 적용된다면, 한국산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는 일본차나 미국 현지 생산 차량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소비자와 자동차 시장에도 타격

이번 관세는 한국이나 유럽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국 소비자들 역시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수입차에 관세가 붙으면, 가격이 오르고 소비자의 선택권이 줄어들기 때문.

 

예를 들어, 한국에서 수입되는 현대, 기아의 전기차와 SUV는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는데,

이들이 25% 비싸지면 미국 소비자들이 구매를 꺼릴 수밖에 없다.

 

 

게다가, 미국 내에서 판매되는 자동차 중에도 부품을 해외에서 조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부품들까지 관세 대상이 된다면 제조 단가 상승이 불가피하다.

 


 

글로벌 공급망과 자동차 산업, 흔들릴까?

현대의 자동차 산업은 글로벌 공급망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한국, 멕시코, 독일, 중국 등 여러 나라에서 부품이 오간다.

 

하지만 이번 조치는 이런 글로벌 공급망이 직접적인 위혐을 주 수 있다.

미국 내 자동차 제조사들도 결국 해외 부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미국 기업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

 


 

한국 정부와 기업의 대응은?

한국 정부는 현재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WTO(세계무역기구) 제소 여부, 양자 협상, 외교적 대응 등을 검토 중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이미 미국 내 공장을 운영하고 있고,

향후 미국 현지 생산 비율을 높이는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ㅏ. 

 

또한 전기차 보조금 이슈와 연결되어 있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과도 맞물려 있기 때문에, 한국 자동차 업계는 한충 더 복잡한 환경에 놓이게 됐다.

 


 

마무리 요약

  •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2025년 4월부터 시행
  •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이 절반에 가까워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 가격 경쟁력 약화 불가피
  • 미국 소비자와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도 광범위한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한국 정부와 기업의 전략적 대응이 중요

 

728x90
반응형